2019년 4대보험료율, 계산방법
1. 들어가며
안녕하세요?? 장노무사입니다.
오늘은 4대보험에 대해 알려드리려 합니다.
2019년 4대보험료율은 어떻게 되는지,
급여에서 공제되는 금액이 정확한 것인지 등
아래에서 살펴보겠습니다.
2. 4대보험이란?
4대보험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을 말하며
정부가 관리하는 의무가입 보험입니다.
(1) 국민연금
국민연금은 나이가 들어 은퇴 후 생업에 종사하지 못할 시점을 대비하기 위해 국가가 소득이 있는 국민에게 '의무적'으로 가입하도록 만든 보험입니다.
(2) 건강보험
건강보험은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고액의 진료비로 가계에 과도한 부담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만든 사회보험입니다.
(3) 고용보험
고용보험은 근로자가 실직한 경우에 생활안정을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 급여를 지급하는 실업급여사업 등을 실시하는 사회보험입니다.
(4) 산재보험
산재보험은 근로자가 업무상 사유에 의해서 부상, 질병, 장애, 사망하는 경우 각종 치료비와 사망보험금 등을 보상해주는 사회보험입니다.
3. 2019년 4대보험료율
2019년 4대보험료율은 어떻게 될까요?
부담주체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4대보험은 산재보험을 제외하고 근로자와 사업주가 반반씩 부담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4. 4대보험료 급여 공제방법 및 모의계산
그렇다면 매월 급여에서 4대보험 공제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다음과 같은 순서대로 보시면 됩니다.
(1) 급여 항목 확인
: 나의 월 급여가 어떤 항목들로 구성되었는지 확인
(2) 비과세 항목 제외
: 식대, 차량유지비 등 비과세항목 제외
(3) 과세 급여를 기준으로 보험료 계산
: 과세대상급여총액 x 각 4대보험료율
위 순서대로 월급에서 4대보험 공제에 대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위의 표를 보시고 본인의 급여와 비교해보시면 됩니다.
모의계산은 4대 사회보험 연계센터 페이지를 참고하세요~!
↓↓↓
http://www.4insure.or.kr/ins4/ptl/data/calc/forwardInsuFeeMockCalcRenewal.do#this
5. 나가며
오늘은 4대보험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자신의 급여에서 공제가 제대로 되고 있는 것인지
잘 확인해보시면 좋겠습니다.
참고로 자신이 4대보험에 잘 가입되어 있는지 등을 문의하시기 위해서는 각 공단에 본인이 직접 연락해보셔야 합니다.
연락처는 다음과 같습니다.
국민연금 : 1355
건강보험 : 1577-1000
고용/산재보험 : 1588-0075(근로복지공단)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